개장
국내 증시.
특별한 호재없이 수급과 기대감에 따른 랠리.
어제의 급등이 오늘 차익실현으로 인한 하락으로 나타날까.
미국증시.
차익실현 매물에 의한 변동성 증가(하락)
국내 증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코로나19가 종식될 기미가 보일 때, '대규모 경기부양'이 일어날 것.
대규모 경기부양은 언제인가?? 아마도 확진자 수 추이가 100명 이하로 떨어지고, 가족 나들이가 나아져갈 때, 백신의 효과가 인정될 때라고 생각.
인플레가 시작되기 전까지, 금리 인상이 수면위로 떠오르기 전까지는 증시 랠리가 계속될 것이고 순환매가 지속될 것.
추격매매가 아닌 소처럼 투자하시라라는 조언처럼.
축제가 끝나는 시점 때 까지 내가 선정한 주식을 소처럼 매집해보자.
그 주식을 더 조사해보자.
여유자금만으로, 평정심을 유지하며
pm 12:11
CJ대한통운 175,000 1주 매수 체결
카카오 389,500 1주 매수 주문-체결
장마감
(단어공부)
펀더멘탈 : 시장 분위기가 아닌 기업 자체의 성장성, 수익성과 같은 기초체력, 확인된 자료에 따른 투자
센티멜탈 : 감정적 기대감에 따른 투자
모멘텀 : 주가 기울기, 등락 가속도, 과거지표를 근거로 한 시장 상승/하락분위기
(코스피)
외국인, 기관 약 7,470억 순매도
개인 7,272억 순매수
미국 증시 변동성과 함께 외인과 기관이 매도세를 보였지만
개인의 강한 매수세로 미국 증시와 따로노는 모습을 보임.
기업들의 간접적 호재가 주가상승과 함께 동시에 나오는 모양세.
(내생각)
실적 발표가 있는 이달 중순전까지 기대감이 한껏 부풀어 오를 것 같은 생각이 든다.
달러 약세, 미 증시 변동에 대비 한국증시는 활활 타오르고 있는 중에 과연 내일도 외인들이 매도세로 나올까 궁금해진다.
개인투자자가 시장을 주도하고 저점에서 매수하고 고점에서 매도한 사례는 처음.
2030이 50% 차지.
주린이를 포함한 신흥 개인투자자와 노련한 외인과 기관 어떤 시장이 앞으로 나타날지 궁금하다.
(2020 4분기 실적발표 예상 날짜)
'경제 그리고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 할 때 주의할 점 3가지 (0) | 2021.01.06 |
---|---|
안전자산에 뭐가 있을까. (채권, 연금저축, ETF) (0) | 2021.01.06 |
0104 새해첫 개장. 무서운 상승세 시장 (0) | 2021.01.04 |
하락장에서는 투자를 어떻게 해야하는가?(하락장, 리스크헷지, 지속가능투자) (0) | 2021.01.04 |
투자는 우리 지갑에서부터 시작한다. (0) | 2021.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