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그리고 투자20

찾아보게 되는 경제 채널 너무나 많은 채널, 자극적인 말들이 난무하는 유튜브에서 깔끔하고 담백했던 채널들을 소개합니다 1. 최영일의 시사본부 주진형 시리즈 어떤 채널에서는 좋은 지식인을 모셔다 놓아도 진행자가 받쳐주지 못해서 좋은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흘러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최영일 진행자는 지식과 교양을 모두 겸비한 듯하다. 덕분에 좋은 이야기를 적절한 흐름으로 들을 수 있었다. 인기와 조회수를 위해 사람들을 호도하는 채널들과는 사뭇 다르다. 주진형 전 대표는 국회 청문회에서도 바른이야기를 시원시원하게 하는 모습으로 이슈가 된 바 있는데 그래서 더 신뢰가 간다. 폭탄이 터지는 것을 어떤 식으로든 늦추거나 막으려고 해왔던 정치인들. 그리고 이에 익숙해진 국민들. 30분의 시간으로 진행되는데 이야기를 더 듣고 싶어 벌.. 2022. 8. 17.
레이달리오의 세계 경제 전망(매일경제) "공급부족이 해결되지 않는한, 연준의 금리인상은 결국 스태그플레이션을 초래할 것이다. 이는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결국 포퓰리즘 정치로 이어질 것." 지금의 인플레는 공급발 인플레다. 때문에 금리인상으로 인플레가 통제되면 상황이 다시 좋아질 것이라하는 것은 순진한 생각이라고 한다. 미 정부는 현재 가계와 고용이 탄탄해 괜찮다고 한다. 이에 대해서도 반박한다. 경기가 정점일 때는 문제가 있어도 고용 등이 탄탄해 경제가 취약해지는 것을 감지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기축통화국인 미국을 제외한 나라들은 더욱 어려울 것이라고 한다. 환율방어를 위해 외환보유고의 10%를 소진한 뒤에야 환율방어를 포기할 것이라 한다.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2/07/609913/ "주식·채.. 2022. 7. 12.
자산을 늘려가는 투자 EBS다큐프라임에서 은행과 사람 둘, 배가 있는 예시가 있다 배(자산)이 있는 사람은 그것을 빌려주고 돈을 벌고 배가 없는 사람은 대출을 통해 배를 빌려 열심히 낚시를 한다 한정된 자산을 이용하기 위해서 자산이 없는 사람은 노동으로 그것을 빌릴 수 있었다 그리고 오늘 한 유튜브에서 투자를 시세차익을 남기는 관점이 아닌 자산을 늘려가는 관점에서 바라보자는 메시지를 보았다. 이 관점에서 매도 시점은 내가 가진 자산이 나의 기대와 다름을 알았을 때 혹은 그 자산보다 더 좋은 자산을 발견했을 때이다. EBS다큐프라임에서 배웠듯 부자들은 자본주의의 룰을 이용해 사람들의 노동으로 생겨난 부(자산)을 쉽게 가져간다 (어항 속 붕어 예시) 가난한 사람은 돈에 목숨을 걸고 부자들은 그들이 시선이 돈에 가 있을 때에도 항.. 2022. 6. 5.
지금 시중에 얼마나 돈이 풀렸나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72 통화량 추이 통화량 추이 www.index.go.kr https://www.google.com/search?q=%EB%B3%B8%EC%9B%90+%ED%86%B5%ED%99%94&oq=%EB%B3%B8%EC%9B%90+%ED%86%B5%ED%99%94&aqs=chrome..69i57.1514j0j7&sourceid=chrome&ie=UTF-8 본원 통화 - Google 검색 본원통화(말잔, 계절조정계열), 256,662.4, 244,309.3, 251,191.5, 247,510.1, 246,942.8, 246,897.9. 현금통화, 158,033.5, 150,170.9, 155,830.. 2022. 5. 26.
거품 붕괴를 감지하는 수단 1. 금리와 대출증가율 https://www.youtube.com/watch?v=4A1thnDr-Ow 11:34 "대출증가율이 대출금리보다 낮으면 무조건 터져요. 왜냐면 대출을 늘려서 이자를 갚을 수가 없잖아요" 2. GDP갭(실제GDP-잠재GDP) https://www.youtube.com/watch?v=EQ_dntUI4e4&list=LL&index=13 세계적으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계속해서 팽창시기였다. 너무 길지 않은가? GDP갭이 (-)으로 지속되면 터질 수 밖에 없는데, 코로나19로 긴급 통화팽창으로 터지지 않게 했다. 결국 거품이 더 커진꼴. 미국과 유럽은 거품이 터지지 않을 가능성 높다. 왜? 2008년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당시 가계 금융 구조조정을 다 마무리 지은 상태. 우리는..... 2022. 5. 26.
1973년 인플레 vs 2022년 인플레 그리고 경제의 목표 1973~1987 : 미국의 위기와 폴 볼커 배경 : 아랍, 미국에 수출 중단, 물가 폭등, 1966년 시작한 인플레의 연장선, 오일쇼크 인물 : 닉슨 대통령, 아서번스 연준의장, 폴 볼커 연준의장 -닉슨 : 경기부양을 통해 여론 지지를 얻고 연임 목적, 인플레상황임에도 양적완화 주문, 이를 위해 금본위제 폐지, 아서번스 연준의장 임명, 물가동결 -기업 : 고물가 상황에서 정부의 판매가 동결로 생산 = 손해. 생산량 감축으로 물가는 더욱 상승 -아서번스 : 양적완화 정책 수행, 닉슨 대통령에 물가동결과 임금인상을 제안. 그 결과 기업이 큰 부담을 떠안고 경기침체로 들어섬(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6&t_num=13611144).. 2022. 5. 14.
주식도 부동산처럼 부동산의 가치평가 방법, 저평가 판단 방법은 듣기로 입지를 바탕으로 수많은 물건들의 가격을 데이터화하고 비슷한 입지끼리 묶을 때, 비교가 가능하고 저평가를 알 수 있다고 했다. 주식도 이처럼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을 엑셀로 정리하고 이를 조합한 하나의 factor로 기업을 평가한 다음 비슷한 업종, 비슷한 factor끼리 묶어 볼 수 있겠다. 이를 기반으로 특정 기업이 유독 시총이 높거나 낮음을 발견할 수 있고 그 이유까지 어떤 기술적 이슈, 어떤 기대심리, 글로벌 이슈가 있는지 분석해볼 수 있겠다. 이 자신만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장에서 실험을 해보며 유효한 factor를 수정 보완해 나가는 것이 보다 안전하고 객관적일 것 같다. 오랜 시장경험이 쌓이면 마치 현장에서 경험많은 엔지니어처럼 이정.. 2022. 2. 21.
오랜시간 투자하는 방법 http://naver.me/FXLlrSru 버핏처럼 88년부터 코카콜라에 투자했다면[코주부] [서울경제] ※제목 아래의 ‘기사 원문’ 버튼을 눌러 이동하면 편하게 본문 내 링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올 들어 전 세계 10대 부자들의 재산이 200조원이나 줄었습니다. 1월의 기술주 급락 때 n.news.naver.com ISA랑 연금펀드 뭐가 좋은걸까? http://naver.me/FqSOqQS6 연금저축펀드, 퇴직연금(IRP),개인종합자산관리(ISA) 비교하기 요즘 유행한다는 IRP이야기가 직장 내에서 나왔다. “그거 좋다던데, 가입했어?” “좋다고만 들었는데 ... blog.naver.com 연금저축은 연금처럼 오래도록 돈을 넣어둘 수 있는 사람에게, 그게 좀 부담이 된다면 ISA를 활용하고 혜택까.. 2022. 2. 19.
21.10.12 부동산 이해하기 부동산 유명 블로그 : 유나바머 https://blog.naver.com/calmwaves 부동산, 주식과 비슷한 점 우상향 : 다음 고점은 전고점을 돌파한다. 현재 부동산 시장이 상승하고 있지만, 고평가. 현 시점에서 투자자로서 들어가는 것은 위험하지만 실거주라면 부담이 덜하다. (= 장기적으로 가지고 갈 매물이라면, 리스크가 덜할 수 있다.) 싸게 사야 마음이 편하다. 28:09 지금 상황이 어떻든 간에 현시점에서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주택을 매수하고 그 돈을 갚아 나가면서 상급지로 옮길 수 있는 타이밍이 됐을 때, 주저말고 대출을 끼고 옮기고 그리고 이를 3, 4번 반복하면 원래 내가 가고자 했던 것 이상으로 갈 수 있다. 시작점이 어디냐에 따라서 자산의 격차가 커진다. 좋은 물건일 수록 인플레 .. 2021. 10. 12.
개인연금계좌 개설. 앞으로 어떻게 관리할까 1. 오늘 개인연금계좌를 개설했다. 유튜브에서 20대에 해야할 3가지 1. 주택청약 2. 개인연금 3. 이성 쫓지 않기를 보고 개인연금에 대해서 더 조사했다. 처음에는 연금이라는게 55세까지는 묶이는 돈이라는 것, 때문에 투자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홍춘욱 선생님의 영상에서 1. 저축하는 습관 2. 강제적으로 형성하는 안전자산 3. 장기적으로 무조건 묶어놓아야하는 돈으로 ETF, 펀드를 살 수 있다는 것 4. 매년 400만원을 넣으면 년 60만원의 혜택을 준다는 것에 지금 당장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또, 추후에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 그 연금을 담보로 대출을 할 수 있다는 것에 더 만족했다. 기존의 키움증권으로 개인연금계좌를 개설할 수도 있지만 아쉽게도 키움에서는 연금담보대출.. 2021. 8. 24.
시장의 관심을 한몸에 받는 네이버, 카카오 1. 코스피 지수 상황 완만한 상승세 21.05.21일 60일선에 닿은 뒤 완만히 반등하고 있다. 2. 시장의 관심을 한몸에 받는 네이버와 카카오 카카오 시총 64조 2020년 당기순이익 1,734억 2021년 당기순이익(예측) 8,391억 당기순이익의 약 80배 수준의 시가총액이다. 연간 당기순이익의 10배를 적정 시총일 것이라는 기준을 갖고 있다. 이 기준으로 카카오를 봤을 때 불안하다. 최근의 연간당기순이익(예측치)는 8천억이다.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종목인 이노텍의 경우 시총 5조, 21년 예측 당기순이익 6천억 적절히 평가받고 있다고 생각되는 종목이다. 네이버와 비교 시총 63조 2020년 당기순이익 8,450억 2021년 당기순이익(예측) 14조 9,000억 -? 21년 1분기 이익이 너무 크.. 2021. 6. 16.
0409 지난 투자 되돌아보기 (카카오, 현대차, 삼성, MS) 지난 1월달에 카카오와 대한통운을 시작으로 투자에 입문했다 물류, 모빌리티, 로봇, AI가 당시 나의 관심사였다. 대한통운은 우리나라 1등 택배회사이고 안정적인 상황에서 더 많은 투자를 해 로봇을 활용해 자동화 물류 선두주자가 될 거라는 상상을 하며 매수했다. 카카오는 전국민이 쓰는 메신저로 사업확장성이 무궁무진했고 자율주행 택시가 나온다면 카카오택시가 먼저 하지 않을까 상상했다. 그 이후로 현대차, 삼성전자, 매수했다. 그리고 대한통운을 5천원의 차익으로 익절했다. 보다 끌리는 기업이 눈에 들어왔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물류, 모빌리티, 로봇, AI를 모두 다루고 앞으로 어떤형태로든 새로운 모빌리티가 탄생할 거라는 상상. 삼성은 모든 자동화, 로봇 시스템의 핵심이 되는 반도체를 만든다. 마지막으로 마이크.. 2021.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