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ertia tensor1 [고전역학] 관성 텐서(inertia tensor)와 관성모멘트(I=mr^2)의 관계, 각운동량 J=Iw 유도 쉽게 쉽게!!! 우리가 흔히 공식으로 쉽게 쓰는 관성모멘트는 아래와 같죠 이렇게 공식으로 쓰는 이 관성모멘트는 모두 회전축과 일치하고 강체의 중앙을 축으로하는 매우 적절한 축에 대해 정의된 것입니다. 이는 축이 정의되지 않은, 정해지지 않은, 어떠한 축에 대해서도 유효한 관성모멘트 텐서(inertia tensor)로부터 적절한 축을 정해 그 축에 대한 질점 혹은 강체의 관성모멘트를 얻은 것입니다. (관성텐서를 정의할 때 축을 조건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핵심을 먼저 요약한 뒤 글의 마지막에 유도식을 첨부했습니다.) 관성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여러 질점이 모인 강체에 대한 관성텐서는 각각의 질점에 대한 관성텐서를 다 더한 것입니다. 우선 예를 들어 한번 적용함으로써 ij가 어떤 의미인지, .. 2020. 5.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