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부동산의 가치평가 방법, 저평가 판단 방법은 듣기로 입지를 바탕으로 수많은 물건들의 가격을 데이터화하고 비슷한 입지끼리 묶을 때, 비교가 가능하고 저평가를 알 수 있다고 했다.
주식도 이처럼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을 엑셀로 정리하고 이를 조합한 하나의 factor로 기업을 평가한 다음 비슷한 업종, 비슷한 factor끼리 묶어 볼 수 있겠다. 이를 기반으로 특정 기업이 유독 시총이 높거나 낮음을 발견할 수 있고 그 이유까지 어떤 기술적 이슈, 어떤 기대심리, 글로벌 이슈가 있는지 분석해볼 수 있겠다. 이 자신만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장에서 실험을 해보며 유효한 factor를 수정 보완해 나가는 것이 보다 안전하고 객관적일 것 같다. 오랜 시장경험이 쌓이면 마치 현장에서 경험많은 엔지니어처럼 이정도면 나의 포트폴리오가 안전한지, 어디를 손봐야할지 알 수 있지 않을까
728x90
반응형
'경제 그리고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품 붕괴를 감지하는 수단 (0) | 2022.05.26 |
---|---|
1973년 인플레 vs 2022년 인플레 그리고 경제의 목표 (0) | 2022.05.14 |
오랜시간 투자하는 방법 (0) | 2022.02.19 |
21.10.12 부동산 이해하기 (0) | 2021.10.12 |
개인연금계좌 개설. 앞으로 어떻게 관리할까 (0) | 2021.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