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쓰기 일기장

'나만의 황금알 낳는 거위(경험)는 무엇일까'를 안다면 휘둘리지 않는다.

by juhyeonglee 2021. 6. 14.
728x90
반응형

창업을 해서 자수성가한 사람들은 새로운 투자에 큰 관심이 없다. 나만의 황금 거위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나만의 황금 거위 = 나만의 노하우 = 나만의 경험이 아닐까?

 

https://www.youtube.com/watch?v=YW5J3f18wvc&t=905s 

 

 총 3부로 이루어진 영상에서 많은 것을 배웠다. 주식이라는 틀의 안밖을 넘나들며 여러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좋은 이야기들을 적어놓고 보니 크게 두가지의 이야기들로 나뉘었다. 첫번째는 주식에 관한 이야기, 두번째는 '경험'에 대한 이야기이다.

 

경험에 대한 이야기

1. 주식으로 1억 벌었다고 해서 인생이 바뀌진 않는다. 지금 나에게 투자를 해서 내가 새로운 것을 경험한다면 나의 인생이 바뀐다.

그래서, 모든 돈을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다. 나의 돈과 시간을 주식에 쏟는 것 역시 어리석은 짓이다.

 

2. 주식 전에 창업, 영업(경험)을 해보라

 내가 해볼 수 있는 것들은 정말 무궁무진하다. 하나씩 다양한 것들을 경험하면서, 나의 성향에 맞는 것들을 찾아나가자. 나는 어떤 사람인가. 사람들을 만나는 것을 좋아하는가 혹은 꺼려하는가. 시도는 해봤는가.

 

3. 돈이 되지 않는 구간을 견뎌야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돈이 되지 않는 구간을 견디지 못하고 그만 둔다. 보상이 없는 구간을 견디지 못한다. 나의 예전 블로그에서도 이와 관련하여 쓴 글이 있다. 많은 가치있는 것들은 시간을 x축으로, 보상을 y축으로하는 지수함수를 그린다. 시작하자마자 돈이 되는 것은 되려 멀리해야할 수 있다.

https://blog.naver.com/jh03130/221446300285

 

꾸준함의 힘

조급해하지 말라는 게 정확히 무슨 뜻일까 당장의 눈앞의 성과가 없다고 그만두지 말라는 것이다. 어떤일이...

blog.naver.com

 

4. 주변에 휩쓸리지 않고 우직히 나의 경험을 쌓자.

 주변이야기, 돈, 자리, 직을 쫓다가 정작 나의 경험을 쌓지 못할 수 있다. 우직하게 나의 경험을 쌓아나가자.

 

5. '그 구간'을 견디는 방법 : 습관

 보상이 없는 '그 구간'을 지속해 뚤고 지나가게 하는 힘은 습관이다.

 

5. 똑똑하다고 해서 돈을 잘 벌진 않는다.

 머리로 계산하기보다 행동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너무 똑똑한 나머지 머리속에서 시뮬레이션과 이해득실을 따지고 한계를 짓다가는 결국 실천하지 못한다. 잘 몰라도 부딪혀보고 경험하는 것이 방법이다.

 

주식에 관한 이야기

1. 주식은 파도타기, 농사다.

 지금 경험하는 상승장은 몇 년 혹은 몇 십년을 주기로 돌아오는 것이다. 지금 경험하는 장이 다가 아니다. 지난 십년간 박스권을 경험한 투자자들은 주식은 결국 기게 될 것이라는 관념을 갖고 있을 것이고, 최근 주식을 처음 입문한 사람들은 결국 주식은 아름답게 우상향할 것이라는 관념을 갖고 있을 것이다. 나 역시 결국 주식은 우상향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다. 주식은 상승, 하락, 박스와 같은 여러 장세가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마치 파도를 타는 것처럼 높은 파도에서는 어떤 자세를 취하는 것이 좋고, 낮은 파도에서는 어떤 자세를 취하는 것이 좋다는 것을 경험하자. 마치 농사꾼처럼 계절에 따라 해야할 것들을 알고 있자.

 

2. 그래서 주식을 장기전이다.

 가치투자든 단타든 간에 손실보다 이익이 커야지만 지속할 수 있다. 긴 시간의 사이클을 가진 주식장에서 파도타기를 하기 위해서는 다음 파도까지 바다에 빠지면 안된다. 수확의 계절인 가을까지 농작물을 잘 보존해 나가야 한다. 여기서 총자산의 30%만 투자하기, 분할/분산투자, 현금 보유의 역할을 제대로 이해하게 되었다. 모두 리스크를 줄여 투자를 장기적으로 이어나가기 위한 장치들이다. 나는 아버지의 권유로 총 자산의 30%만을 투자에 운용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다. 돈깡 역시 20-30%만 가지고 투자를 한다. 나의 그릇을 알고 투자를 했을 때, 평정심을 갖고 투자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mgiE92Sk9U 

3. 기회가 왔을 때 잡으려면 총알이 남아 있어야

-쇼크가 왔을 때, 진입할 수 있으려면 현금이 있어야한다.

-확신이 없는 것에 총알을 낭비하면 확신이 생긴 진짜가 나타났을 때 잡지 못한다.

-모를 땐 현금화하고 위기에 다가선다.

4. 상승장, 하락장, 박스권 각각에 대해서 시나리오를 갖고 있어야 투자자이다.

 내가 매수, 매도했던 종목들에 대해서 어떤 상황이었고 어떤 생각으로 행했는지 일기를 쓰며 자연스럽게 사이클에 따른 나의 투자 시나리오를 만들어갈 수 있다.

5. 주식은 너무 어렵고, 창업이 훨씬 부자가 될 확률이 높다.

6. 지수를 이기는 종목/지수보다 빠르게 회복하는 종목/지수를 따라가는 종목. 지수를 이기는 종목(대장주)를 가져가자.

-지수를 이기는 종목이 대장주다

-우리는 자본이 유한하기 때문에, 가장 쎈놈을 가져가야한다.

-상승장에서는 모든 주가 빨간불이라 대장주가 보이지 않는다.

-하락장에서 상승하는 것들이 대장주

-지수보다 빠르게 회복하는 것이 대장주

-이러한 종목들을 유심히 봐놓고 지켜보며 기회를 본다.

7. 사람들이 많이 이야기하고 인기가 많은 투자처는 이미 고평가된 종목

-반대로 조용한 대장주를 찾아움직이자.

 

정리하자면)

 주식으로 번 돈보다 나의 인생을 크게 바꾸는 것은 지금 하는 경험들이다. 남들의 이야기에 휘둘리지 않고 보상이 없는 구간을 습관과 루틴으로 버텨나가서 나만의 황금알 낳는 거위를 만들 수 있다. 주식은 소소한 재테크 수단 중 하나이다. 주식 안에서도 핵심은 저평가된 대장주를 가져가는 것인데 이 역시 남들의 이야기에 휘둘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평정심이 필요하고, 그 장치로서 30%한도, 분산/분할 투자가 있는 것이다. 결국 주식이든 삶이든 비교에서 벗어나 나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하는 것이 방법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