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쓰기 일기장

'자율주행에 5G가 꼭 필요할까?'에 대한 나의 생각

by juhyeonglee 2021. 12. 26.
728x90
반응형

 

요약

자율주행은 크게 차랑자체 연산처리 방법과 네트워크를 활용한 연산처리방법이 있다. 테슬라과 엔비디아 같은 경우 인터넷통신 없이 차량자체의 센서와 반도체의 연산에 의존해 더욱 빠르게 자율주행을 발전시켜 시장에 내놓으려 하고 있다. 이와 반대로 5G를 꼭 사용하려는 국가와 기업들의 생각은 5G를 이용하면 더욱 완벽한 자율주행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 같다. 인터넷 통신망을 사용하지 않는 대체방안이 있지만 굳이 5G를 사용하지 않을 이유는 없다는 것이다. 

 

자율주행으로 얻고자하는 이점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운전의 피곤함을 줄이고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것이고 사회적으로 봤을 때는 교통 효율 증대, 교통 사고 감소의 이점이 있다. 소비자 입장에서의 운전 편리성 증대는 통신망없이도 자량자체의 연산만으로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이점인 교통 효율 증대, 교통 사고 감소 등은 차량간의 통신, 차량과 중앙연산센터와의 통신이 있어야지만 가능한 이야기이다.

 

참고글 : https://www.kearney.com/communications-media-technology/article/?/a/5g-a-key-requirement-for-autonomous-driving-really- 

 

5G: a key requirement for autonomous driving—really? - Kearney

With the first rollouts taking place around the world, many say the availability of 5G—along highways and in cities or ideally nationwide—is a precondition for self-driving cars. But is this really true?

www.kearney.com

참고영상 :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9889 

 

[영상] 자율주행 필수 인프라 C-V2X 기술 알아봅시다 1/2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백서 다운로드 받기한: 안녕하십니까. 디일렉 한주엽입니다. 오늘 인하대학교 장경희 교수님 모시고 V2X 기술 얘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장: 반갑습니다.한: 교수님 인하대학

www.thelec.kr

 

 

현대차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부품 업계 한 고위 관계자는 "레벨3 이상의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서는 C-V2X 기술이 필요하다고 판단, 자체적으로 기술개발을 진행해왔다"며 "특히 5G C-V2X 통신칩의 경우에는 퀄컴 칩이 아닌 다른 것을 사용할 계획하고 있다"고 전했다.
출처 :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4702 

 

현대차, 완전자율주행차 선도 위해 5G C-V2X 솔루션 내재화 추진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현대차가 다가오는 완전자율주행차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5G C-V2X 솔루션 내재화를 추진한다.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이스라엘의 차량용 통신 반도체 설계업체인 '오토톡스'로부터 C-..

www.thelec.kr

 

C-V2X 기술이란 

이는 통신기술 중 하나이다. 자율주행에 사용하는 통신기술에는 크게 두가지 WAVE와 C-V2X가 있다. WAVE는 무선랜방식의 와이파이 통신, C-V2X는 셀룰러기반의 통신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 V2X(Vehicle to Everything) : vehicle to vehicle, to infra, to pedestrians, to network

무선랜기반의 기술인 WAVE(DSRC:미국표준)

이동통신기반 기술 : C-V2X.

 

 

현재 어느 기술이 더 지배적인가?

 

해당 지역의 교통상황같은 정보는 그 주변의 인프라로 부터 얻을 수 있겠지만, 우리가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V2N, 네트워크이다. WAVE는 2010년에 규격완성, 5G는 2020년에 규격완성.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이 WAVE에 많은 투자를 해왔다. 하지만 최근 미국을 비롯해 C-V2X로 전환을 해왔고 중국의 경우 처음부터 C-V2X를 추진하여 왔다. 유럽은 기술중립 입장. 우리나라는 과거 WAVE기반 실증사업을 해오던 것을 아직 진행중. 미국처럼 확실히 결정을 하지 못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C-V2X로 가는 상황에 따라 아마도 유럽과 한국도 같이 따라갈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및 느낀점

중국의 자율주행차 시장이 매우 강력하겠다. 그 이유는 앞으로 자율주행의 핵심이 될 C-V2X 기반의 통신 인프라를 이미 앞서 추진해왔으며 이러한 통신망을 다른 기업의 자율주행차량이 사용하도록 하는 통제권이 오로지 중국 당국의 결정에 달려 있다는 점 때문이다. 

현재 자율주행의 선두주자인 테슬라가 앞으로 어떤 행보를 보일지, 현대차는 테슬라, 다른 완성차업체들과 어떻게 맞서 경쟁력을 가질지 그리고 미국 중국 유럽 한국이 완전자율주행 시장에서 어떻게 우위를 점해갈지가 궁금해진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