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9

결혼에 대한 두루뭉실한 생각 스물 일곱이 되면서 조금씩 결혼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됐고 막연함에 부담과 불안이 생겼다 그러면서 나름의 결혼에 대해서 이런게 중요하겠다고 생각하게 됐다 첫번째는 순수하게 아무것도 재지 않고 그 사람 자체가 좋은지 둘째, 경제적 생각의 방향이 비스무리한지(그런데 아직 나도 구체적인 투자계획같은건 없다) 셋째, 너무 나만 바라보지 않도록 그 사람의 취미가 있는지(사실 이건 크게 중요치 않다. 취미가 있고 나랑 같으면 더 좋겠다는 생각은 있다) 넷째, 자녀 교육에 관해서 사교육을 크게 안시켜도 개의치 않는지(나는 그냥 아이가 주도적으로, 관심이 있는 것을 찾도록 도와주고 독서습관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고 싶다) 그 외로 결혼비용문제, 신혼여행은 제주도 or 해외?, 서울이 아닌 지방에서 사는 것 좋은지, 부.. 2022. 6. 7.
하고 싶은 게 없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스님과 아이유가 하나같이 이야기한다 하고싶은 것이 없는 것은 부러운 일이다 문제는 하고 싶은 것이 있을 때 생긴다 하고 싶은 것이 있는 사람은 그것이 약점이 되고 하고 싶은 것이 있는데 하지 못하기에 문제가 된다 그러나 밥은 먹고 살아야하기에 하고 싶은 것이 없는 사람은 직업 선택의 폭이 매우 넓은 것이다 더나아가서 보람된 일을 하고 싶다면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해주면 보람이 된다 https://youtu.be/K92JtFjMkGg https://youtu.be/oIWnQlA9kTo 2022. 6. 5.
자산을 늘려가는 투자 EBS다큐프라임에서 은행과 사람 둘, 배가 있는 예시가 있다 배(자산)이 있는 사람은 그것을 빌려주고 돈을 벌고 배가 없는 사람은 대출을 통해 배를 빌려 열심히 낚시를 한다 한정된 자산을 이용하기 위해서 자산이 없는 사람은 노동으로 그것을 빌릴 수 있었다 그리고 오늘 한 유튜브에서 투자를 시세차익을 남기는 관점이 아닌 자산을 늘려가는 관점에서 바라보자는 메시지를 보았다. 이 관점에서 매도 시점은 내가 가진 자산이 나의 기대와 다름을 알았을 때 혹은 그 자산보다 더 좋은 자산을 발견했을 때이다. EBS다큐프라임에서 배웠듯 부자들은 자본주의의 룰을 이용해 사람들의 노동으로 생겨난 부(자산)을 쉽게 가져간다 (어항 속 붕어 예시) 가난한 사람은 돈에 목숨을 걸고 부자들은 그들이 시선이 돈에 가 있을 때에도 항.. 2022. 6. 5.
그럼 해보자 시작하기가 어렵다 그럼 가볍게 가보자 무거우면 시작하기가 어렵다 가볍게 출발하고 무게를 늘려 나중에는 멈추기가 어렵게 하자 영상에 담으려하는 많은 것을 내려놓고 꼭 담아야할 알맹이만 데려가자 내가 잘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럼 잘할 수 있는거야 경제, 음악, 외국어 알맹이는 뭐야? 꼭 이루고 싶은거? 나는 경제를 객관적으로 보는 경제등불이 되고싶어 나의 생각을 온전히 담은 노래를 만들어나가고 싶어 나는 외국어를 잘해서 내 능력치를 더 끌어올리고 싶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뭐를 매일 하면 될까? 온전히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그것을 들여다보기. 경제는 매주 이슈들을 모아모아 굴비처럼 엮어 하나의 스토리를 만들고 줄기를 뽑아내는 거야. 음악은 한 달에 한 번씩 좋아하는 곡 하나를 연습해서 MR위에 내 목소리 .. 2022. 6. 2.
지금 시중에 얼마나 돈이 풀렸나 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72 통화량 추이 통화량 추이 www.index.go.kr https://www.google.com/search?q=%EB%B3%B8%EC%9B%90+%ED%86%B5%ED%99%94&oq=%EB%B3%B8%EC%9B%90+%ED%86%B5%ED%99%94&aqs=chrome..69i57.1514j0j7&sourceid=chrome&ie=UTF-8 본원 통화 - Google 검색 본원통화(말잔, 계절조정계열), 256,662.4, 244,309.3, 251,191.5, 247,510.1, 246,942.8, 246,897.9. 현금통화, 158,033.5, 150,170.9, 155,830.. 2022. 5. 26.
거품 붕괴를 감지하는 수단 1. 금리와 대출증가율 https://www.youtube.com/watch?v=4A1thnDr-Ow 11:34 "대출증가율이 대출금리보다 낮으면 무조건 터져요. 왜냐면 대출을 늘려서 이자를 갚을 수가 없잖아요" 2. GDP갭(실제GDP-잠재GDP) https://www.youtube.com/watch?v=EQ_dntUI4e4&list=LL&index=13 세계적으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계속해서 팽창시기였다. 너무 길지 않은가? GDP갭이 (-)으로 지속되면 터질 수 밖에 없는데, 코로나19로 긴급 통화팽창으로 터지지 않게 했다. 결국 거품이 더 커진꼴. 미국과 유럽은 거품이 터지지 않을 가능성 높다. 왜? 2008년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당시 가계 금융 구조조정을 다 마무리 지은 상태. 우리는..... 2022. 5. 26.
22년 5월 23일에는 이렇게 하자 오늘이 22년 5월 19일, 내일 포항으로 친구들을 만나러 간다. 2박 3일 동안 즐겁게 잘 놀고와서 빠르게 정신차리라고 이 글을 써놓는다. 1. 행동하는 법? 끊임없이 내가 미래에 되고 싶은 것을 꿈꾸고 어떤 행동으로 옮길지 치열하게 고민하자. 그리고 직접 액션을 취하고 피드백을 구한다. 2. 복잡할 것 없이 내가 즐기고 잘할 수 있는 것을 더욱 개발한다. 내가 행복감을 느끼고 잘할 수 있는것에 집중해보자 '공부'를 통해 지식을 쌓고 지혜를 키우는 것 그것을 '나누고' 저녁에는 소소히 '운동'을 하고 적절한 '사교활동'도 하고 초6, 대학시절 공부하는 것이 즐겁고 나머지 시간에는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이 행복했던. 니즈서쳐 영상처럼 내가 잘하는 여러 복잡한 지식과 정보들을 하나의 줄기로 엮어내고 요약하는.. 2022. 5. 19.
환율 전쟁 환율의 매커니즘은 복잡하다. 환율은 국제 수지가 결정한다. 국제 수지가 흑자이면 환율은 하락, 적자이면 상승한다. 국제 수지는 경상수지와 자본수지로 나뉜다. 경상수지는 국제경쟁력이 결정하고, 자본수지는 성장잠재력이 좌우한다. 국제경쟁력과 성장잠재력을 향상시키면 환율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고 약화시키면 패배할 수밖에 없다. 저자는 이 국제경쟁력과 성장잠재력이 경제 호황을 부르고 국민들이 윤택한 삶을 살 수 있게하며 실업률 하락, 임금상승, 국가부채, 외채 모두가 해결될 열쇠라고 한다. 이 책을 통해 외환시장 이해와 환율변동 예측력을 얻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근데 좀 잘 읽히지 않을 것 같은.... 2022. 5. 17.
가진 것 없이도 성공할 수 있다는 워런 버핏의 2가지 조언 https://www.youtube.com/watch?v=W50xz6hRE94&t=6s 가진 것 없이 시작해 성공한 그들은 모두 내가 남들보다 뛰어나지 않지만 성공하리라는 굳은 의지, 무엇보다 고객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사람들과 함께 일하며 그들과 신뢰를 구축하고 함께 하는 사람들을 기쁘게 하고 싶다는 생각. 그들의 고객과 동료들을 친구로 만들고 싶다는 생각. 1. 고객을 기쁘게 하라. 너무나 평범한 것들을 가지고, 오히려 더 부족한 것들을 가지고 시작한 사업이 워런 버핏에게 인수되고 엄청난 가치를 가진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노하우는 오직 한 가지. 고객이 상품을 구매할 때 기분좋은 경험을 하도록 노력했다는 것이다.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친절함과 서비스를 제공했다. 내가 지금 입고 .. 2022. 5. 16.
일이 잘되는 나의 루틴 찾기가 중요한 이유 https://youtu.be/j2kC_Pla2v4 위대한 자들의 하루는 규칙적이어서 그릴 수가 있었다. 어떤 사람은 자기 전 시간, 어떤 사람은 오후, 어떤 사람은 아침. 짧은 시간만 하는 사람도 있고 매우 긴시간을 들이는 사람도 있었다. 중요한 점은 그들이 스스로 자신이 어떤 시간대에 집중력을 최대로 활용하고 창의력이 뿜어져 나오는지를 알고 그에 맞게 규칙적으로 움직였다는 것이다. 나는 연구실 생활을 할 때 매우 규칙적으로 움직였었다. 학기말에 학회발표에 대한 압박감으로 아침일찍 눈뜨자마자 잠을 깨는 걷기운동 30분, 콘프라이트 식사, 8시 연구시작으로 하루를 시작했다. 나는 자면서 충전된 에너지를 처음으로 쓰는 아침에 집중력이 가장 높았던 것 같다. 그래서 새로운 것을 찾고 연구하고 시도하는 뇌 사.. 2022. 5. 14.
1973년 인플레 vs 2022년 인플레 그리고 경제의 목표 1973~1987 : 미국의 위기와 폴 볼커 배경 : 아랍, 미국에 수출 중단, 물가 폭등, 1966년 시작한 인플레의 연장선, 오일쇼크 인물 : 닉슨 대통령, 아서번스 연준의장, 폴 볼커 연준의장 -닉슨 : 경기부양을 통해 여론 지지를 얻고 연임 목적, 인플레상황임에도 양적완화 주문, 이를 위해 금본위제 폐지, 아서번스 연준의장 임명, 물가동결 -기업 : 고물가 상황에서 정부의 판매가 동결로 생산 = 손해. 생산량 감축으로 물가는 더욱 상승 -아서번스 : 양적완화 정책 수행, 닉슨 대통령에 물가동결과 임금인상을 제안. 그 결과 기업이 큰 부담을 떠안고 경기침체로 들어섬(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6&t_num=13611144).. 2022. 5. 14.
생각이 궁금한 사람 특징 https://youtu.be/3AfbiVclRHs 나 혼자만의 시간을 충분히 만끽하면서 유튜브도 보고 뒹굴거리기도 하면서 휴식을 다~하고나면 심심함이 찾아온다. 이 심심함이 찾아왔을 때, 휴식과 뒹굴거림 sns마저도 지루해졌을 때, 그 때 내가 무엇을 하는지 그 때 그 고독함에서 내가 쌓아올린 시간들이 나의 비밀을 만들고 나의 고유함이 된다. 이를 사람들에게 조금씩 보여주는 것이 이 연 채널의 성장비결이었다고 한다. 2022.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