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쓰기 일기장119 [리얼 일기] 나 되돌아보기, 부자의 마음가짐 가지기 # 나 되돌아보기 : 나는 스케쳐다. 나는 스케치와 밑그림에 관심이 많다. 색칠에는 관심이 없다. 어떤 일을 맞닥뜨리면 구조를 잡고 핵심을 휘어잡는 것에 관심이 있다. 구체적인 디테일을 탐구하는데는 관심이 적다. 오늘 한학기동안 준비한 결과물을 발표하는 자리가 있었다. 다양한 사람들이 다양한 결과물을 공유하였고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어 좋은 시간이었다. 그리고 예전, 기자단 최종결과물 발표에서 들었던 생각이 다시 떠올랐다. 그 당시 최종 결과물에서 더 다듬고, 결과를 예측할 수 없지만 결과를 더 향상시킬지 모를 어떤 가능성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유의미한 결과물을 도출한 사람을 보았다. 어느 적정 수준에서 만족하고 마무리했던 나와 다른 모습이었다. 그때는 '아 저사람은 정말 이 일에 진심이구나, 글쓰기와.. 2021. 12. 6. 의미있는 것에 시간을 집중하자 "마누라 빼고 다 바꿔라. 변할 사람만 변해도 좋다. 그러나 변하고 싶은 사람 발목은 잡지마라." 혁신이 필요한 삼성도 대기업인 만큼 매우 다양한 사람들이 조직으로 구성되어있다. 크게 두가지로 나눈다면 일을 좋아하는 사람과 적당히 일하고 워라밸을 지키고 싶은 사람으로. 그래서 이건희 회장이 저렇게 말한 것 같다. 이 영상에서도 서로 다른 두 가치관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좋아하는 일 그리고 그 일에서 의미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 그리고 독립적인 통제력으로 누구에게도 아쉬운 소리 할 필요없는, 을의 위치가 될 필요없을 만큼의 돈을 스스로 버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람. 신사임당과 앤드류 모두 독립적인 사업으로 일을 하고 을의 위치가 될 일이 없을만큼의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결국에는 어느 타이틀, show.. 2021. 12. 4. SK실트론 SV활동 후기 지난 여름방학 끝자락인 8월 즈음부터 시작한 활동이 오늘 성과공유회로 마무리되었다. 많은 시간을 투자하지는 못했지만 SK실트론으로부터 DSP공정 데이터를 제공받아 데이터분석을 경험할 수 있었다. 본 활동에 참여하게 된 계기는 먼저 세상의 많은 것들이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고 앞으로도 더 많은 것들이 데이터화 되는 만큼, 데이터를 다루는 것을 해보고 싶었고 기업의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해보는 것이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였다. 이름모를 숫자들로 표시된 인자들을 보며 처음에는 막막했지만 9월 경 중간 미팅을 통해서 데이터분석의 목적과 인자들의 의미, 중요하게 파악해야할 것들을 확인하며 분석이 진전을 보였다. 총 3개의 학교가 참여하였지만 본 성과공유회에는 우리학교만 참석하였고 다른 학교들은 이미 결과자료를 제.. 2021. 11. 23. 강화학습관점 좋은 습관 만드는 법 고찰 우선 한번도 해보지 않은 액션이라면, 시도해봐야 한다. 그리고 최선을 다해 그 보상이 커지도록 한다. 습관은 policy이다. 어떤 상태에서 경험적으로 어떤 행동을 했을 때 만족감이 컸는지 자연스럽게 기억되고 오래 지속되면 그 것이 policy로 습관으로 남는다. 습관을 바꾸려면 다른 액션으로 더 큰 보상을 받아야 한다. 현실에서 눈앞의 쾌락이 크면 장기적으로는 마이너스인 액션들이 많다. 멀리 내다보고 억지로 다른 긍정적인 액션들을 경험하고 그리고 더 힘들겠지만 지속함으로써 보상을 맛봐야 한다. 어렵지만 해내면 멋진 많은 것들은 시간과 성과가 지수함수 관계에 있다. 어느 시점을 지난 이후부터 성장이 느껴지고 그 이후로는 급격한 성장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힘든 노력을 지속하고 끝내 보상을 맛보았을 때, .. 2021. 11. 11. 하고싶은 것 할 수 있게 한 분야 전문가가 되려면 오래도록 능력을 갈고닦고 경험을 쌓아야한다. 어렵고 힘든 것을 꾸준히 해야한다. 이를 해내려면 그 일을 먼저 좋아해야 한다. 송길영, 조광일 모두 좋아하는 일을 하라고 한다. 좋아해야지만 노력을 계속 쏟아부을 수 있고 그래야지 건강한 수련을 할 수 있다. 송길영은 보다 현실적으로 생존을 위해서는 사회의 니즈에 맞추어 선택하라고 조언한다. 지금 내가 좋아서 하는 일을 더욱 깊게 파고들고 유니크함으로 혁신을 꾀하라. https://www.youtube.com/watch?v=AJ7j3Pyg3J0 3:44 혼재된, 어질러진, 정해진 답이 없는 세상 속에서 Core를 찾아내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6:42 일이 공부고, 공부가 일이고, 그것이 수련이고 9:38.. needs-.. 2021. 11. 2. 지금 내가 좋아서 하는 일을 더욱 깊게 파고들고 유니크함으로 혁신을 꾀하라. https://www.youtube.com/watch?v=AJ7j3Pyg3J0 3:44 혼재된, 어질러진, 정해진 답이 없는 세상 속에서 Core를 찾아내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6:42 일이 공부고, 공부가 일이고, 그것이 수련이고 9:38 문제는 어렵기 때문에 문제다. 풀기 쉽다면 이미 문제가 아니다. 문제가 있기 때문에 또 내가 필요하다. "일이 힘들어요." "당연하네요! 당신이 (회사에서) 소중하니까요." 문제가 어렵고, 일이 힘들어야 (그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적고) 보상이 커진다. 그것을 해낼 수 있는 사람이 별로 없기 때문에. 10:22 힘든 것은 공력이 들어가는 것이고, 괴로운 것은 내가 상처를 받는 것. 힘든 것은 나의 숙련, 숙고를 통해 더 나아질 수 있다. 하지만 고통.. 2021. 10. 27. 체력을 길러 임계점을 넘자 대학원 생활, 첫 시험 조교를 했다. 마치 수능시험장과 같은 학생들의 열기와 말똥한 눈, 이글거리는 자세, 막힘없이 써내려가는 답을 보며 좋은 에너지를 받았다. 나는 요 며칠간 체력저하를 느꼈는데 운동을 통해서 이를 극복하고 더욱 순도높은 집중력으로 더욱 매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체력이 국력이다. 그리고 요즘 공부하고 있는 ROS에 대해서 깨달은 사실은 ROS는 패키지, 하드웨어, 센서간의 통신, 통합을 통한 구동에 특화되어 있는 것이며 ROS를 통한 robot control은 로봇 구동에 가까운 의미라는 것이다. 내가 알던 control은 역학적 운동방정식에 따른 제어기를 만드는 것인데 이는 ROS를 통해서 할 순 없다. 제어기를 만들고 이를 ROS를 활용하여 하드웨어와 통신시킬 수는 있다. 2021. 10. 23. 현재의 과정도 즐겁고 미래의 보상도 좋은 것 학교 세미나에서 인생의 계획을 만들어야 시간과 돈을 아껴 원하는 곳에 투자할 수 있다고 했다. 언제든 수정할 수 있는 나의 인생 계획을 생각해봤다. 재밌는,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경험하며 언젠가는 사업도 하여 결국에는 경험을 나누는 사람이 되고 싶다. 그런데 집중해서 하다보니 내가 공부하는 것에 즐기지 못하는 내가 보였다. 지친 마음에 기숙사로 돌아왔다. 가만히 재충전을 하다가 아래의 영상들을 봤다. 그래, 과정이 즐거우면 된거지. 재밌으면 된거지. 그래야 매일, 즐겁게 할 수 있지. 시험은 못풀지만 어려운 문제를 푸는 그 시간을 좋아하는 아이. 문제가 풀리지 않을 때 스트레스가 아닌 행복을 느낀다. https://www.youtube.com/watch?v=lRsa2eEZnfU&list=PLoAP7cXdN.. 2021. 10. 11. 의지는 있지만 결과가 그닥이라면 (나를 과대평가하지 말자) 작심삼일을 반복하고 있지 않은가? 뭔가 열심히 해야겠다 하고 이것저것 열심히 하지만 방법이 옳지 않았던 것 같고 결국 번아웃을 반복하지 않는가? 결국 휴식을 취하고 다시 뭔가를 시작하기가 어려워지는 상황이 생긴다. 그럼에도 또 다시 뭔가를 시도한다. 내가 지금 그렇다. 유튜브를 통해서 위의 악순환을 반복할 수 밖에 없었던 원인들을 찾아냈다. 이제는 정말 반복하고 싶지 않다. 서른이 되기 전에 뭔가 성과를 내고 싶고 나만의 가치로 돈을 벌고 싶다. 오래도록 재밌게 할 수 있는 일을 전문성을 키워 갖고 싶고 그 전문성으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돈을 벌고 싶다. 악순환 고리의 원인들을 분석했고 그 결과 세가지를 고쳐 다시 바뀔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첫번째는 시간확보를 못한것. 두번째는 나만의 방법 고집,.. 2021. 8. 26. 차분히 하나씩 알차게.(카이스트 교수님 강의를 듣고 느낀점) 1. 차분히 하나씩 알차게 (from 교수님) 인공지능 강의를 배속으로 들었다. 그러다 어느 순간 집중을 못하고 다시 앞부분으로 영상을 되돌렸다. 결국에는 처음부터 1배속으로 교수님의 한마디 한마디를 이해하며 듣는 것이 더 빨리, 알차게 듣는 것임을 느꼈다. 교수님은 매우 차분하게 강의하셨는데 아시는 내용임에도 하나씩 차분히 강의하시는 모습에서 나와 반대되는, 내가 배워야겠다는 모습을 발견했다. 나도 학기중이나 방학중에도 할 일이 많다고 생각하는데 여러 프로젝트와 연구를 진행하는 교수님은 더 바쁠 것이다. 그럼에도 조급하지 않고 차분히 하나씩 일을 진행하는 모습에서 나 역시 조급하지 않고 조금 더 일찍 움직이며 차분히, 제대로 한 번에 하나씩 일을 처리해나가자는 생각을 했다. 2. 힘을 빼고 천천히 주변.. 2021. 8. 25. 지출의 우선순위를 매기자. https://www.youtube.com/watch?v=BSEwfhhfigA 1. 어느정도의 부가 생긴 뒤부터는 재산증식과 행복이 비례하지 않는다. 소비가 아닌 다른 근본적이고 더 고차원의 방법으로 욕구를 충족시키자. 그럴 수 있는 일을 업으로 삼는다면? 2. 예금보다 적금, 빠져나가는 돈에 우선순위를 매기자. 예금은 위급할 때 자유롭게 빼내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쉽게 소비해버릴 수 있다는 위험성이 있다. 적금을 통해서 락을 걸어두자. 매달 고정 소득이 들어오면 주변의 많은 곳에서 그 돈을 가져간다. 빠져나가기 전에 먼저 나를 위한 일정량의 돈을 빼두자. 나의 미래를 위한 적금, 투자금을 가장 먼저 빼두고 나머지 돈으로 소비생활을 하자. 사람은 적응의 동물이다. 월 50의 용돈을 받으면 35만.. 2021. 8. 2. 네이버랩스 '인공지능을 접하는 우리의 편향적 사고' 읽으며 시작하는 월요일 아침 지난 주말, 집에서 가족과 함께 에어컨과 맛있는 음식들 그리고 충분한 잠, 게임과 함께 보내고 새벽녘에 일어나 학교로 왔다. 눈은 좀 무겁지만 머리는 가벼운 느낌. 뭔가 일을 할 때 이루고 싶은 목표상이 보여야 일을 의욕적으로 할 수 있다. 네이버랩스에 김상배교수님의 글이 있어 읽으며 일주일을 시작한다. https://www.naverlabs.com/storyDetail/212 [Forward Thinking] 인공지능을 접하는 우리의 편향적 사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공지능과 로봇을 뗄래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로 생각합니다. 정작 연구소에서는 세부적인 기술이 중요하기 때문에 인공지능이란 단어 자체를 쓸 일이 드물지만, 외부 www.naverlabs.com 청소를 적당히 깔끔하게 하고, 말을 할 때 자.. 2021. 8. 2.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